상세정보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연구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연구

저자
김정기 저
출판사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일
2013-11-07
등록일
2014-02-17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15M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이 책은 이용과 충족의 관점에서 사람들의 텔레비전 경험을 분석한 논문들과 이용과 충족 연구 분야를 대변하는 주요 참고문헌을 담고 있다. 기존의 이용과 충족 연구에서의 성과를 취합하고 저자의 의견을 더하여 1992년에 설정한 기본적인 분석틀은 ① (사람-미디어-사회의 상관적 맥락에서의) 사회적 심리적 요인 → ② (다양한) 미디어 이용 동기→ ③ (차별적인) 미디어 혹은 프로그램 이용 → ④ (다양한) 메시지와의 (차별적인) 상호 작용 → ⑤ (다양한) 이용의 (차별적인) 결과로 조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 분석틀을 구성하는 ①부터 ⑤까지의 각각의 요소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와 함께 이들 각 요소가 서로 상호 상관적으로 관련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독립적인 조사는 각각의 요소는 그 나름대로 다양한 하위 구성요인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며, 상호 상관 연구는 사람들의 미디어 경험이 ①부터 ⑤ 사이의 요소 중에서 복수 이상의 요소를 복합적으로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이 책에 실린 9개 연구논문을 분석틀과 비교하면서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논문인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 동기 연구’는 매스컴 연구에서 측정 도구의 의미와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 분석틀의 요소 ② (이용 동기)에 속하는 연구다. 미디어 수용자로서 사람들이 미디어와 관련하여 느끼는 욕구의 실재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텔레비전 시청 동기를 조사하였다. 외국의 시청 동기가 아닌 우리나라의 맥락을 반영하는 시청 동기를 귀납적으로 개발하고, 동시에 개발된 시청 동기 측정 항목에 대한 구성 타당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두번째 논문인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 행태’는 대학생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틀의 구성 요소 ②(이용 동기)와 ③(미디어 혹은 프로그램 이용)의 관계를 조사한 것이다. 첫번째 연구논문에서 국내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시청 동기 항목(30개)에 나타나지 않은 미국과 영국 연구에서 개발된 시청 동기 항목 13개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단순히 텔레비전 시청 동기와 시청하는 프로그램의 상관성이 형성하는 시청 행태를 조사하는 것을 넘어서 텔레비전에 대한 보다 넓은 범위의 심리적 변인(시청 동기, 텔레비전에 대한 친밀감, 메시지의 현실감)과 텔레비전 시청 행위(시청 프로그램, 시청량)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세번째 논문인 ‘한국 성인의 텔레비전 시청 만족도와 시청 동기, 시청 태도, 시청 행위, 시청 프로그램의 상관성 연구’는 성인 시청자를 대상으로 분석틀의 요소 ②(이용 동기)-③(프로그램 이용)-⑤(이용 결과)들이 서로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였다. 시청 동기, 시청 행위, 시청 프로그램의 상관성과 함께 시청의 결과로서 시청 만족도를 조사하고, 만족도가 가질 수 있는 시청 행위에 대한 영향력 등 순환적인 텔레비전 이용과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네번째 논문인 ‘대학생 유권자의 국회의원 선거 뉴스 시청과 시청 효과’는 선거 뉴스의 이용과 효과에 초점을 맞춘 ②(이용 동기)-④(메시지와의 상호 작용)-⑤(이용 결과)에 대한 조사로 각각의 요소에 대한 조사와 함께 세 요소 사이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 연구였다. 기존의 선거 뉴스 시청에 관한 문헌 검토를 통해 38개의 선거 뉴스 시청 동기 항목을 도출하고 선거 뉴스 메시지와의 상호 작용으로서 수용자의 능동적 활동을 대변하는 세 가지의 변인(주목 활동, 관여 활동, 긍정적 평가 활동)을 포함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거 메시지의 효과에 대한 문헌 검토를 통하여 효과를 정보 습득에 관한 효과와 투표 행위와 관련한 효과로 나누었다. 정보 습득 효과로는 입후보자에 대한 정보 습득, 선거 이슈에 대한 정보 습득, 선거 이슈에 대한 정당 및 후보자들의 주장에 대한 이해, 선거 이슈에 대한 정당 및 후보자들의 해결책에 대한 이해를 측정하였다. 투표 행위와 관련한 효과로는 선거에 대한 관심과 투표 참여, 투표한 후보자 결정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였다.
다섯번째 논문인 ‘청소년 시청자의 텔레비전 시청 행태와 효과 연구’는 비판적인 우려를 낳고 있는 청소년 시청자에 대한 텔레비전의 부정적인 기능을 염두에 둔 ②(이용 동기)-③(프로그램 이용)-⑤(이용 결과)에 대한 분석이었다. 중학생 시청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시청 동기를 중학생 시청자가 쉽게 응답할 수 있도록 고쳐서 사용하였으며 시청 태도 시청 프로그램과 함께 시청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청 효과는 계발 효과에서 분석한 폭력과 관련한 변인이었지만, 폭력에 대한 두려움 자체를 측정했다는 차별성을 지닌다.
여섯번째 논문인 ‘텔레비전 시청과 친사회적 태도의 상관 관계’는 TV의 긍정적인 기능 분석에 주목하면서 분석틀의 ②(이용 동기)-③(프로그램 이용)-⑤(이용 결과)의 상관에 대한 조사였다. 고등학생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여 텔레비전의 부정적 효과와 비교할 때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텔레비전의 긍정적인 기능과 영향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긍정적인 효과(친사회적 태도)로 측정된 변인은 다른 사람을 돕는 이타주의, 다른 사람에 대한 신뢰감, 사회에 대해 느끼는 안전감이었다.
일곱번째 논문인 ‘어린이 시청자의 도구적 시청과 관습적 시청 경험 연구’는 초등학교 어린이 시청자를 대상으로 보다 구체적인 시청 유형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시청 특성을②(이용 동기)-③(프로그램 이용)-⑤(이용 결과)의 관계에서 분석한 연구였다. 도구적으로 TV를 시청할 때와 관습적으로 시청할 때 시청 태도, 시청 행위, 시청 결과에서 서로 다른 차별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이용자 측면에서의 연구 필요성을 제안했다.
여덟번째 논문인 ‘날씨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 시청 경험, 시청 효과’는 텔레비전 시청 일반이 아닌 날씨라는 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이용과 결과를 요소 ②(이용 동기)와 요소 ⑤(이용 결과)의 관계에서 조사한 연구이다. 사회활동이 활발한 20~30대를 주요 대상으로 날씨라는 특정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와 시청 효과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분석의 범위를 확대하고 사람들의 특정 욕구 충족에 근거한 텔레비전 시청의 특성을 조사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아홉번째 논문인 ‘수용자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용과 충족 연구의 30년’은 이용과 충족 연구에 대한 포괄적인 설명으로 분석틀의 요소 모두를 포함하면서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국내에서 항용 거론되는 이용과 충족 연구와 관련한 내용이 대부분 1974년까지의 연구에(Katz, Blumler, & Gurevitch, 1974) 근거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특히 1980년대 이후의 이용과 충족 연구의 성과에 대해 주목할 것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이용과 충족에 대한 비판이 어떻게 극복되고, 어떻게 여전한 문제로 남아 있는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이용과 충족의 핵심인 능동성을 효과에 대한 촉진적 활동과 억제적 활동으로 개념화한 부분과 다양한 하위활동개념을 정리한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능동성의 개념적·경험적 확장과 조사를 위해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이용과 충족을 넘어 이용과 효과의 관점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증진시키리라는 생각이다.
그리고 마지막 내용인 이용과 충족 연구의 참고문헌은 이 책에 실린 각 논문에 이용된 문헌과 함께 이용과 충족 연구 분야에서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참고의 가치를 지니는 영어문헌들을 포함하고 있다. 선택에서 저자의 자의성이 지니는 한계는 있지만 이용과 충족 연구 관점을 활용하려는 연구자들이 실용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적지 않은 연구 조사를 이용과 충족의 관점과 분석틀을 적용한 결과로 측정 변인과 측정 도구, 분석 방법, 문헌 인용과 내용에서 중복이 눈에 띌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앞에서 밝혔듯이 저자가 연구 과제로 오래 전부터 설정한 기획의 산물이며 장기적으로 단일 분석틀을 텔레비전 수용자에게 적용한 연구가 없는 우리 학계의 현실에서 장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어린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성인 등 차별적인 수용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텔레비전 시청에서부터 선거 뉴스나 날씨 보도와 같은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석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연구를 진행하면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현상 분석과 이해에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중요한 변인들을 추가해 갔음도 밝힌다.

한줄평

전체 0건(0/0 페이지)
번호 별점 한줄평 작성자 작성일 추천수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