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음악, 밀당의 기술 - 타이밍과 끌림에 관하여

음악, 밀당의 기술 - 타이밍과 끌림에 관하여

저자
이미경 지음
출판사
곰출판
출판일
2024-01-14
등록일
2024-09-06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27MB
공급사
알라딘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음악의 시간은 일정하게 흐르지 않는다

미묘한 밀림과 당김이
만들어내는 마법


박을 정직하고 충실하게 짚어주는 음악은
내 심장을 거기에 동조해 함께 뛰도록 만들기 때문에 좋다.
반대로 살짝살짝 비껴가는 음악은 기대를
조금씩 비껴가는 안타까움에 애간장이 녹는다.
우리가 음악을 사랑하는 이유는 이런 ‘끌림’ 때문이다.

그야말로 ‘박자를 가지고 노는 것’
이 과정이 꼭 연인 사이의 ‘썸’처럼 느껴진다.
기분 좋은 떨림과 짜릿함이
사람들을 음악에 빠져들게 만드는 힘이다.

모두를 들썩이게 만드는 힘
공감의 원형, 박(beat)


사람들은 저마다 가슴에 북을 하나씩 가지고 있다. 20여 년 전 우리는 그것을 전 세계인들과 함께 확인했다. 2002년 6월, 온 나라가 하나의 ‘박(beat)’에 그렇게 강력하게 빠져드는 모습은 이전까지 어디에서도 본 적 없던 광경이었다. \'대- 한 민국, 짝 짝 짝 짝짝, 대- 한 민국, 짝 짝 짝 짝짝.\' 이 단순하지만 강력했던 박이 전 국민을 ‘하나’로 만들었다.
그런데 월드컵처럼 거창한 게 아니더라도 우리 가슴 속 북을 확인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좋아하는 음악을 듣는 것이다. \'드랍 더 비트(drop the beat)\'와 함께 시작되는 강렬한 랩도 좋고, 흥겨운 비트와 리듬으로 몸을 한순간도 가만 두지 못하게 만드는 K팝도 좋다. 왈츠의 3박자 음악과 피아졸라의 반도네온 선율의 탱고 리듬에 몸을 맡길 수도 있다. 이런 음악은 우리 가슴을 그야말로 ‘바운스 바운스’ 두근거리게 만든다. 이런 두근거림의 이유가 바로 ‘박’이다. ‘박’은 변화하는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음이 진화시킨 특별한 능력이다. 물론 음악은 소리의 시간적 변화 그 자체이기 때문에, 우리는 음악을 들으면서 자신도 모르게 ‘박을 세는 능력’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그래서 혼자 노래를 흥얼거릴 때나 다른 사람과 앙상블을 즐길 때도 고개를 흔들거나 발끝을 까딱거린다.

많은 사람들이 박수를 치고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멋진 연주가 끝나자 사람들이 기립박수를 치며 난리가 났다. 열심히 박수를 치면, 혹시 연주자가 앙코르로 한 곡 더 연주해줄까 하는 기대를 갖는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청중들이 서로 박자를 맞춰 박수를 치는 순간이 있다. 지휘자가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다. 이들이 모두 다른 사람과 전혀 상관없이, 내 멋대로 고집스럽게 치겠다고 작정하면 동조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영향을 조금 받아서 ‘어? 옆 사람이 이렇게 치네?’ 정도만 생각해도 동조는 순식간에 일어난다. 아니, 사실은 이런 생각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도 동조는 일어나는데, 그건 사람들이 원래 어떤 행동을 다른 사람들과 맞추고 싶어 하는 무의식적인 본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_10 약간의 상호작용, 72쪽

이런 현상을 ‘동조’라고 하는데, 동조는 마음이 없는 무질서한 집단, 진동자들이 서로 보조를 맞추어 질서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우리를 당황스럽게 하는 것은 그 과정이 의식적으로 질서를 추구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소위 복잡계 과학에 속하는 현상이다. 우리가 익숙한 것은 원인-결과가 뚜렷한 직선적인 논리다. 그러나 그물처럼 상호 연결된 복잡계에서는 원인과 결과가 투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맥동으로 연결된 진동자 수백만 개의 상호작용이 동시에 일어나면서 모두가 서로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 가슴에는 북이 하나씩 있는데, 이것들은 서로 ‘동조’한다.

음악에 매료되는 이유
밀고 당기는 타이밍의 예술


음악의 본질은 무엇일까? 지금까지 우리는 ‘음악의 3요소’라 불리는 멜로디와 리듬, 하모니를 음악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으로 다뤄왔다. ‘딴딴 따-단’하는 〈결혼행진곡〉이나 ‘띠로리로, 띠로리로리’하는 〈엘리제를 위하여〉는 우리가 음악을 멜로디로 기억하는 대표적인 곡들이다. 리듬은 음의 장단과 강약을 나타내는 것인데, 멜로디 진행에 길고 짧음, 강하고 약한 것을 보여준다. 하모니는 일정한 법칙에 따른 화음의 연결, 즉 다른 소리와의 어우러짐을 다룬다. 그런데 이 책 (음악, 밀당의 기술)은 그동안 지나쳐 온 ‘박’을 전면에 내세운다. 물론 박을 연구하는 것만으로 음악의 본질에 다가갈 수 없음을 저자 스스로도 잘 알고 있다. 박과 박자는 음악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중요한 요소들 가운데 하나일 뿐이란 것도 이해한다. 그럼에도 저자는 왜 ‘박’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일까?
저자는 박이 리듬이나 멜로디 같은 음악의 다른 요소들과 비교해, 비록 중요도는 떨어질지 몰라도 음악의 시간적 질서와 공감의 측면에서 다른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를 감각적으로 짚어내는 데 그치지 않고, 심리학과 진화생물학 등의 다양한 연구와 연결지어 설명한다. 그래서 음악을 만들고 연주하는 사람과 듣고 즐기는 사람 사이를 이어주는 연결고리가 박이 가진 원초적인 힘임을 설득력있게 보여준다.

인간은 ‘박’을 느끼고 규칙적 박을 선호하는 능력을 마음속에 갖고 태어나지만, 태어나자마자 바로 박에 맞추어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훈련을 받아야만 가능하다. 엄마에게 특정한 모국어를 배움으로써 말을 할 수 있게 되듯이, 박에 기초한 행동도 서서히 해당 문화로부터 그 방식을 배운다. 그래서 아프리카의 문화에서 자란 아이가 박자를 타는 방식과 아랍인이 박자를 타는 방식, 우리나라 사람들이 박자를 타는 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 그들의 언어가 다 다르듯이 말이다.
아기들도 앵무새나 바다사자처럼 박에 맞춰 행동하기 위해서는 ‘훈련’이라는 특별한 사회적 조건이 필요하다. 사람에게는 훈련을 해야 한다는 사회적 이유가 있었던 반면, 동물에게는 훈련을 해야겠다는 사회적 조건이 진화 과정 중에 생기지 않았던 것 같다.
_19 박에 맞춰 행동하는 동물과 춤 추는 아기, 114쪽

저자는 다양한 음악 레퍼런스로 자신의 생각을 뒷받침한다. 동요부터 클래식, 국악과 재즈, K팝까지 다양한 음악들이 구현하는 박을 탐구한다. 그리고 그 안에서 함께 동조하는 울림을 가만히 응시한다.
50개에 가까운 QR코드는 글로 전달하는 한계를 극복하는데 부족함이 없고, 다양한 도표와 그림, 악보 등 시각 자료는 호기심과 글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일조한다. 독자는 이를 통해 저자가 이야기하는 바를 보다 입체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다.
저자가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음악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의 원천이었다. 음악은 박자를 통해 시간과 울림을 공유하고, 리듬을 통해 선율과 이야기를 전한다. 이것을 잘 알고 이용하는 사람이 음악가이고, 연주자다. 이들의 시간은 정박으로 흐르지 않는다. 소위 ‘잘하는 연주자’는 메트로놈의 딸깍거림에 맞춰 정확하게 연주하지 않는다. 정박과 엇박 사이에서 미세하게 당기고 밀어냄으로써 스윙, 혹은 그루브를 만들어낸다. 연주자들의 이런 미묘한 시간차는 도대체 무엇일까? 어째서 이런 ‘끈적함’이나 ‘울렁거림’, ‘둥둥 뜨거’나 ‘주저주저함’ 등의 감정이 연주에서 느껴지는 것일까? 이 모든 느낌을 뭉뚱그려서 그냥 ‘뉘앙스’로 표현하면 그만일까?

미국의 심리학자 칼 시쇼어(Carl Seashore)였는데, 그는 컴퓨터도 없던 시절(20세기 초)에 아이오와 피아노 카메라라는 기계를 발명하여 10밀리세컨드 단위까지 음의 길이 변화를 측정했다. 이 기계는 피아노의 해머의 움직임을 찍어 온셋타이밍(소리를 내는 시작점)과 소리의 크기(다이내믹)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였다. 그 결과 피아니스트들이 연주에서 악보에 적힌 음의 길이나 높이로부터 상당한 정도까지 이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이것을 ‘예술적 이탈(Artistic Deviation)’이라고 불렀다. 그것은 ‘이탈’이지만 작곡가에게, 혹은 청중에게 허용된 ‘이탈’이다. 뿐만 아니라 그것은 연주의 ‘예술적’ 완성도를 높인다. 그 이탈은 예술적 아름다움인 것이다.
그렇다면 모든 이탈은 예술적일까? 모든 이탈이 예술적이라면 연주자들이 얼마나 기쁠까? 그런데 어떤 이탈은 허용되고 어떤 이탈은 허용되지 않는다. 심지어 어떤 이탈은 절묘함의 극치로, 예술적 경지의 극치로까지 이해되는 반면, 어떤 이탈은 ‘탈락’의 원인이 된다.
_32 ‘뉘앙스’로 느껴지는 너, 정체가 뭐냐, 207~208쪽

하지만 이런 ‘이탈’을 어느 누구도 틀렸다고 말하지 않는다. 틀렸다고 말하기에 앞서 그 매혹적인 끌림에 나도 모르게 빠져들고 만다. 몸이 먼저 반응하기 때문이다. 드러내고 박을 세는 건 아니지만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박을 세고 이것들을 함께 느끼면서 시간을 공유한다. 그 타이밍이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면 안정감을, 어긋나면 안타까움에 애간장이 녹는다. 이것은 마치 연애 초기에 연인들이 서로의 감정을 밀고 당기는 것처럼 간질간질하고 몽글몽글한 매력으로 다가온다. 그렇게 정신없이 ‘연주자의 밀당’에 끌려다니다 보면 나도 모르게 음악에 흠뻑 취하고 마는 것이다.
저자는 함께 박자를 공유하는 시간, ‘순간적으로 서로를 느끼고 확인하는 시간’ 그 자체가 음악의 본질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이것이 ‘스트리밍 시대’에 아직도 콘서트장에서 관객과 아티스트가 호흡하는 이유라고 말한다. 이제 책을 덮고 나면 내 안의 북소리에 귀 기울여 함께 그 소리를 맞추는 쾌감을 모두가 확인하게 될 것이다.

한줄평

전체 0건(0/0 페이지)
번호 별점 한줄평 작성자 작성일 추천수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연관도서 연관도서를 소개해드립니다!
저자동일
함께 대출한 도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