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킷 리스트
삶에 쫓겨 놓쳐 버린 청춘의 발자국과
당신의 첫 문장을
다시 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
50여 년 동안 우리 곁에서 세상에 대한 ‘바라봄’을 시로 전해 온 나태주 시인, 이번에는 그가 시로 한 글자 한 글자 꾹꾹 눌러 쓴 버킷 리스트를 독자에게 전한다.
2007년 교장 퇴임을 앞두고 췌장암으로 오랜 기간 투병 생활을 겪었던 그는 한 인터뷰에서 \'기적적으로 회복해 13년째 제2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투병하며 첫날처럼 마지막 날을 사는 일이 가장 중요하단 걸 이해하게 됐\'다고 덧붙이며 죽음 역시 삶 못지않게 소중한 것임을 깨달았다고 밝힌 바 있다.
시집 [버킷 리스트』는 이러한 그의 ‘삶과 죽음에 대한 바라봄’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시를 묶은 것으로, 독자가 그들만의 \'첫 문장을 다시 찾\'기를 바라는 시인의 마음을 함께 담아 전한다.
출판사 서평
내가 세상에 나와
꼭 해 보고 싶은 일은
사막에서 천막을 치고 일주일 정도 지내면서 잠을 자기,
전영애 교수 번역본 [말테의 수기]끝까지 읽기,
너한테 사랑한다는 말을 듣기.
(그런 일들을 끝까지 나는 이룰 수 있을는지--.)
―서시 [버킷 리스트』에서
50년 시인 생활을 되돌아보며 찾은 진정한 삶의 의미
나태주의 ‘시로 쓴 버킷 리스트’
50여 년 동안 우리 곁에서 세상에 대한 ‘바라봄’을 시로 전해 온 나태주 시인, 이번에는 그가 시로 한 글자 한 글자 꾹꾹 눌러 쓴 버킷 리스트를 독자에게 전한다.
2007년 교장 퇴임을 앞두고 췌장암으로 오랜 기간 투병 생활을 겪었던 그는 한 인터뷰에서 \'기적적으로 회복해 13년째 제2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투병하며 첫날처럼 마지막 날을 사는 일이 가장 중요하단 걸 이해하게 됐\'다고 덧붙이며 죽음 역시 삶 못지않게 소중한 것임을 깨달았다고 밝힌 바 있다.
버킷 리스트(Bucket List), 흔히 죽기 전에 꼭 해야 할 일들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다. 버킷 리스트의 유래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으나 가장 유력하게 떠오르는 것이 바로 교수형을 집행할 때 쓰이기 시작했다는 가설이다. 목을 매단 죄수의 발 아래 놓인 뒤집어진 양동이(Bucket)를 발로 차 교수형을 집행한 데서 온 말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태주는 우리에게 죽기 전 해야 할 일들이 아닌, 일상 속에서 작은 것 하나씩 실천해 나간다는 의미의 새로운 ‘버킷 리스트’를 다정히 건넨다.
오늘도
안녕!
너의
맑은 영혼의 호수에
내가
구름 그림자 되지 않기를!
꺼졌던 전깃불 다시
살아나듯이.
―「아침 안부」
어느 날 갑작스럽게 찾아온 죽음의 문턱에서 시에 대한 애틋한 마음 하나로 투병 생활을 버틴 시인은 기꺼이 자신 그리고 그의 시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살아줘서 고맙습니다.\'라는 말을 건넨다. 늘 주고받는 일상적인 ‘아침 안부’가 아닌, 안온한 삶을 빌어 주는 따스한 기도를 전하기도 한다.
하루하루 삶이 꿈이고
순간순간 숨 쉬는 일이 기적이고
내가 누구를 그리워하고
누군가 나를 생각함이
이미 버킷 리스트 그것인데
어찌 또 버킷 리스트가 있을까요?
하지만 나에게도 남아 있는 버킷 리스트가 있답니다
―「시로 쓴 버킷 리스트」에서
기적적으로 회복한 시인은 다시 찾아온 삶의 온기를 소중히 품은 채, 자신에게 아직 남아 있는 \'버킷 리스트\'를 종이 위에 펼쳐 본다. \'하루하루 삶\'과 \'순간순간 숨 쉬는 일\'이 꿈이고 기적이 될 수 있음을 누구보다 절실하게 깨달은 그에게 아직 남은 버킷 리스트는 과연 무엇일까?
시집 [버킷 리스트』는 모두 3부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 \'내가 세상에 나와 해 보지 못한 일\' \'내가 세상에 와서 가장 많이 해 본 일\' \'내가 세상에 나와 꼭 해 보고 싶은 일\'이 그것이다.
1부인 ‘내가 세상에 나와 해 보지 못한 일’에서는 일상 속에서 그동안 미처 돌아보지 못한 소중한 순간들을 들여다보기를 청유한다. \'다만 그저 봄이 와 파르르 떨고 있는 뽀오얀 봄맞이꽃\'을 지그시 내려다보기, 어느 일요일 오후 곤히 자고 있는 아기 바라보기, 그리고 \'자세히 보아야 예쁘\'고 \'오래 보아야 사랑스\'러우며 왠지 모르게 ‘너’를 닮은 풀꽃 안아 보기--. 단정하고 따스한 시인의 언어로 독자에게 그들을 둘러싼 세상을 골고루 ‘바라볼 것’을 권한다. 시인에게 있어 ‘바라봄’은 그 행위 자체로 세상을 사랑하는 방식이 아닐까.
2부 ‘내가 세상에 와서 가장 많이 해 본 일’은 나태주 시인이 삶을 살아가며 느낀 단상들을 주로 모았다. \'웃어서 행복한가 행복해서 웃는가\'라는 쉽지 않은 질문을 던지고 어쩌면 그 둘이 \'함께 답\'일 수도 있지만 \'오히려 웃어서 행복\'한 것이 아닌지 넌지시 시인의 언어로 그 답을 펼쳐 보인다. \'기다리면 오지 않고\' 기다림에 \'지쳤거나 기다리지 않을 때 불쑥 찾아\'오는 누군가를 끝없이 그리거나,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는\' 삶의 근원적인 딜레마, 그 \'풀기 힘든 문제\'에 대해서도 담백하게 털어놓는다.
마지막 3부는 시인이 ‘세상에 나와 꼭 해 보고 싶은 일’을 담았다. 삶의 마지막 날까지 그의 곁을 지켜 줄 소중한 이들에게 \'이것이 우리들 마지막 날이 되고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감사 인사 잊지 않기, \'다른 사람을 위해서도 살게 하\'는 기도 드리기, 그리고 \'다른 나라의 젊은 청춘들이 우리글 한글을 배워 내가 쓴 한글 시를 한글 그대로 읽어 주는\' 꿈을 언제까지나 간직하기.
오늘도 열심히 죽어서 잘 살았습니다.
―「퇴근」
시인은 \'열심히 죽어서 잘 살았\'다는 말로 책의 마지막 페이지를 마무리한다. 하루하루 먹고사는 문제로 고민하는 청춘, 인생의 수많은 선택지 앞에서 여전히 흔들리고 불안한 중년, 삶과 죽음이라는 두 얼굴을 함께 바라보고 선 노년까지. 각자 서 있는 곳에서 인생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끊임없이 고민하는 독자에게 시인은 \'삶에 쫓겨 놓쳐 버린 청춘의 발자국과 당신의 첫 문장\'을 다시 한번 찾아보자며 작은 손을 내민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인다. 짧은 시들을 함께 읽어 나가다 보면, 언젠가 당신만의 \'버킷 리스트\'를 찾을 수 있을 거라고.
그래, 살아 줘서 고맙다고.
번호 | 별점 | 한줄평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수 |
---|---|---|---|---|---|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