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형의 교양 심리학 - 과학적이고 진보적인, 새로 쓰는 심리학 개론
인간을 똑똑한 동물로 보는 기존의 주류 심리학은 틀렸다!
싸우는 심리학자 김태형의 본격 심리학 강의
---
욕망에서 의지까지, 세대 심리에서 심리학의 활용까지
‘사회적 존재’로서의 진짜 인간을 탐구한다
한국 사회에서 심리학에 대한 대중적 관심은 여전히 뜨겁다. 그래서 상당수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또 체계적으로 심리학 이론을 공부하고 싶어서 심리학 개론서에 도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읽은 후의 반응은 신통치 않은 경우가 많다. \'심리학 개론을 읽었더니 인간 심리를 이해하는 것이 더 어려워졌다\', \'심리학 개론이 인간 심리를 이해하는 데 별 도움이 안 된다\'와 같은 반응이 대표적일 것이다. 단지 일반 독자만이 아니다. 미국이든 한국이든 심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도 처음 심리학 개론을 배웠을 때 똑같은 얘기를 하곤 한다.
저자는 그 이유가, 미국산 주류 심리학이 본질적으로 친자본적이고 보수적인 학문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오늘날 자본주의 세계는 정신건강 악화와 이로 인한 사회적 병폐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는데, 인간 사회를 마치 개미나 벌의 무리를 살피듯 하면서 오로지 ‘개인’에게만 초점을 맞추는 생물학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심리학으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마치 ‘동물의 왕국’과도 같은 기존의 심리학 대신, 사회 속에서 살아 숨 쉬는 현실의 사람들이 등장하는 드라마 정도는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존의 주류 심리학은 사람을 생물심리사회적 존재라고 정의한다. 즉 사람은 생물학적 존재(동물)이자 심리적 존재(개인)인 동시에 사회적 존재(무리 생활을 하는 동물이라는 의미)라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을 생물심리사회적 존재로 부른다고 해서, 이를 사람이 ‘사회적 존재’임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고 간주할 수 있을까? 포유류는 파충류의 특징도 일부 가지고 있다. 그러면 포유류를 ‘파충포유류’로 불러야 할까? 어른도 아이의 특징을 일부 가지고 있으니 ‘아이어른’이라고 불러야 할까? 사람을 ‘사회적 존재’라고 부르는 것은 사람이 유기체로서의 생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가 아니라, 생물학적 존재와는 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존재이기 때문이다.
또한, 왜 20대의 우울증 유병률이 이렇게 급증한 것일까 하는 문제를 가지고 학자들이 조사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보자. 20대의 뇌에 세로토닌이 부족하다(생물학적 원인), 20대들이 부모에게서 조기 사교육을 강요당하는 등 행복하지 않은 어린 시절을 보냈다(개인적‧심리적 원인), 최근에 청년 실업은 더 심각해진 반면 물가와 집값은 폭등했다(사회적 원인). 이런 결과들을 근거로 아마 심리학자들은 20대의 우울증 급증에는 세로토닌 감소, 불우한 개인사, 경기 침체 등의 생물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영향을 미쳤다는 식의 뻔한 결론을 내릴 것이다. 그러나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에 대한 판단을 회피하거나 내릴 수 없게 만드는 전형적인 병렬식-나열식 설명법으로는 진정한 원인, 주요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결코 알아낼 수 없다.
이 책은 인간의 심리를 ‘스스로 자각할 수 있는, 사회역사적 성격을 지닌 의식 현상’이라고 규정한 뒤, 이를 욕망, 감정, 의지, 사고와 기억, 개성과 성격, 발달과 세대 심리, 사회 심리, 심리학의 활용 등의 범주로 나눠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사람은 계급이나 계층, 민족,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른 심리를 갖는다. 노예제 시대와 자본주의 시대의 사람들이 같은 심리를 가질 수 없으며, 노동자 계층과 자본가 계층의 심리 역시 다르다. 또한 인간은 언어를 통해 자신이나 타인의 심리(사고, 욕망, 감정, 의지 등)를 자각하고, 그에 맞게 목적의식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동물이 아닌 인간만의 심리적 특징이다.
특히 이 책은 인간의 의지(자기 통제에서 의지 행동과 신념까지), 세대 심리(유아부터 노인까지 각각의 고유한 세대 심리), 사회 심리(개인 간의 소통에서 집단 심리까지), 심리학의 활용(심리 통제에서 타인에게 심리적 도움 주기까지) 등 기존의 심리학에서는 잘 다루지 않는, 그러나 정작 우리의 현실에서는 더욱 중요한 영역들에 많은 관심을 할애하고 있다.
번호 | 별점 | 한줄평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수 |
---|---|---|---|---|---|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