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호모 모빌리쿠스 모바일 미디어의 문화생태학
- 저자
- 김성도
- 출판사
- 삼성경제연구소
- 출판일
- 2008-04-28
- 등록일
- 2013-05-20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7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휴대전화에 대한 생태학적 사유!
휴대전화가 가져온 새로운 문화생태계를 인문학의 지평 속에서 '매체 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조명한 책. '호모 모빌리쿠스'는 휴대전화를 생활화한 현대의 새로운 인간형을 지칭하기 위해 만든 조어다. 저자는 모바일 미디어(이 책에서 말하는 모바일 미디어는 휴대전화를 지칭한다)가 인간의 생활에 미치는 변화를 문화생태학이라는 관점에서 이야기한다.
인류가 경험한 다양한 매체 가운데 최단기간에 빠르게 확산된 휴대전화는 사람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그렇다면 휴대전화의 이 같은 급속한 성장과 보급 요인은 적정 비용의 기술 제공, 네트워킹 역학 등의 이유도 있지만 무엇보다 인류가 오랫동안 꿈꿔온 편재성의 욕망 즉, 이곳과 동시에 저곳에 존재하는 꿈을 휴대전화가 실현시켜주었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또한, 공간과 시간, 사회와 문화, 언어와 정신계에 미치는 휴대전화의 영향을 분석하고, 이것이 가져다준 결과물로서 공동체 개념의 변화, 이율 배반성을 지닌 기술의 효용성, 사적 커뮤니케이션과 공적 커뮤니케이션의 혼융 현상, 사회ㆍ윤리적 차원에서 훈육과 통제사회 조장 등의 현상을 살펴보고 있다.
▶ 작품 자세히 들여다보기!
이 책은 새로운 공동체의 윤리를 수립할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휴대전화가 촉발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감시와 제어의 훈육을 우려하고, 이동통신 기술의 정치적 차원에 대한 연구를 시사하고 있다. 저자는 인간 기술 진화의 리듬은 규정하기조차 힘든 고삐 풀린 가속화의 수레바퀴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인간 생명체의 비교적 짧은 시간의 간극 속에서 파상적인 변형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통신기술이 갖추어야 할 요건은 생명ㆍ문화ㆍ환경을 통합적으로 사유하는 생태학적 사유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자소개
김성도(金聖道) dodo@korea.ac.kr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10대학교로 유학하여 언어학과 기호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미술사학과 및 언어학연구소 방문 교수, 프랑스 리모쥐 대학교 초빙 교수 등을 지냈으며, 프랑스와 캐나다 정부의 지원을 받아 토론토, 몬트리올, 파리 등에서 연구를 했다. 현재는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및 영상문화학 협동 프로그램 주임교수를 맡고 있으며, 세계기호학회 집행위원, 한국기호학회, 국제인문언어학회, 한국영상문화학회의 편집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데리다, 그레마스, 퍼스 등 세계 석학들의 저서를 번역 출간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6년 한국일보 <출판문화상(번역 부문)>을 수상하였으며, 《현대 기호학 강의》(1998), 《로고스에서 뮈토스까지》(1999), 《구조에서 감성으로》(2002), 《디지털 언어와 인문학의 변형》(2003), 《기호, 리듬, 우주》(2007) 등 다수의 저서를 출간하였다.
목차
책을 내며
서론
1부 모바일 미디어의 사회?문화적 파장
01 새로운 미디어 문화의 창발 : 문화적 매체기술로서의 휴대전화
모바일 미디어의 사회?문화적 변동 / 모바일 미디어의 매체 생태학적 의미 : 욕망과 현실의 인간학
모바일 미디어의 문화적 풍경 / 모바일 미디어의 매체 생태학
모바일 오브제의 문화기호학적 해석 : 디자인, 신체, 가치 / 인간의 몸과 테크놀로지 : 커뮤니케이션을 ‘입다’
02 휴대전화 사용의 사회적 의미
휴대전화의 기술사회학적 함의 / 휴대전화의 사회적 진화와 역할 / 사회적 구별짓기에서 유행으로
사회적 관계맺기와 안전망 / 모바일 미디어의 사회?심리적 역효과 / 휴대전화 사용의 다원적 논리
모바일 디자인의 사회적 의미
2부 새로운 언어 풍경과 정신의 변형
03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언어 풍경
제3자의 침투와 새로운 언어적 행동 /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생태학 / 모바일 미디어 언어의 주요 특징
SMS 언어의 언어학적 분석 / 커뮤니케이션의 고고학과 문화사 소묘 / 모바일 영상언어
04 휴대전화 접속자의 정신계
모바일 마인드와 유목주의 / 경험 개념 / 환상성과 고독 / 심리적 결속감 / 사회적 의례와 예절의 파괴 : 비판적 기술
3부 시간과 공간의 새로운 축조
05 시간의 새로운 현상학
춤추는 시간 / 새로운 시간성의 축조 : 시간 조정의 혁신 / 긴박성과 즉시성 / 시간의 가소성
06 새로운 공간성의 축조 : 거리의 소멸과 공간의 가상화
모바일 미디어의 새로운 장소성 / 새로운 공간의 경험 : 공간을 날아다니다
탈체현된 노마드 : 현존과 부재의 새로운 놀이 / 물리적 속박으로부터의 해방 도구 / 공공장소의 카오스
모바일 미디어의 새로운 공간 생성 / 도시성의 새로운 풍경 : 시선의 새로운 협상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