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시대 재테크 긴급 진단
제로 금리 시대, 새로운 재테크 흐름을 읽어내라!
포스트 코로나가 몰고 올 새로운 재테크 기상도
제로 금리 시대, 이제까지의 재테크 상식은 버려라
은행 이자가 1%도 안 되는 제로금리 시대는 우리의 상식을 모두 깨뜨린다. 더 이상 눈부신 경제 성장은 없다. 부모님 세대처럼 은행 예·적금을 오로지 인내와 끈기로 유지해 목돈을 만들던 시대도 이제 없다. 계모임이라며 단기 자금을 빌려줬다가 높은 이자로 되돌려받는 ‘훈훈한 풍경’도 70·80년대 옛날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다. 아파트 분양권을 사고팔겠다며 발품을 팔았던 우리 어머니의 모습도 찾아볼 수 없다. 은행 예금? 이제 이자란 단어가 사라진다. 그렇다면 우리의 재테크 환경은 어떻게 변하고 또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 것인가. 그에 대한 예측이 바로 돈을 모을 수 있는 지름길이다.
주식, 강남 부동산, 파생상품, 현물 투자까지
하나하나 짚어보는 재테크 기상도
바이오주와 언택트주에 주목하라
개인 전체 순매수 금액의 37%가 유입된 삼성전자는 16.6%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개인 순매수 상위 종목인 SK하이닉스(20.9%), 포스코(27.2%), 기아차(29.7%) 등도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외국인이 많이 산 종목은 승승장구했다. 순매수 1, 2위 종목인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각각 49.29%, 60.66% 상승했고, 6위인 파미셀(+108.79%)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외국인은 주로 코로나19 국면에서 치료제 생산 기대감으로 실적 성장이 점쳐진 바이오주에 투자해 높은 수익률을 거둔 것이다.
코로나19가 불러온 언택트 소비는 국내 유통업의 ‘탈(脫) 오프라인’을 앞당긴 자극제다.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는 전에 주목받지 못했던 산업을 일깨우거나 이제 막 태동하는 업종에 가속도를 붙여준다. 2020년 쿠팡, 이베이코리아, 11번가 등 주요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작년 동월 대비 16.9% 늘었다. 온라인이 오프라인 매출을 넘어서는 것도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고 코로나19 때문에 그 속도가 더 빨라지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19의 주도주는 비대면산업이라는 데 큰 이견은 없을 것이다. 여의도 증권 고수들은 하나같이 향후 주도주로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e커머스 등 비대면산업에 주목하고 있다.
강남 재건축, 떨어진다?
과거 지표를 통해 판단해보자.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던 지난 2012년 7월, 서울 아파트 값은 금융 위기 직전보다 9% 떨어졌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지수 기준이다. 특히 강남 재건축 하락폭은 이 기간 동안 30%나 급락했다. 다른 집값보다 등락폭이 크기 때문에 강남 재건축이 고위험·고수익 상품으로 불린다.
강남 재건축의 상징인 은마아파트 실거래가는 2012년 2월 전용 77㎡ 기준 7억 9,000만~8억 3,000만 원 수준으로, 최고가 대비 30% 급락했다. 같은 해 3월 개포주공 3단지 전용 36㎡가 5억 4,500만 원에 실거래 됐는데 이는 최고가 7억 4,500만 원에 비해 27%나 빠진 가격이다.
이 같은 데이터를 근거로 한 부동산 전문가는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더라도 부동산 규제가 풀리지 않는 한, 서울 지역 집값은 최소 10% 이상 빠질 수 있다”며 “같은 논리로 재건축도 지금보다 30%는 하락해야 반등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고 전했다.
강남 재건축, 다시 반등한다?
규제 장벽이 높지만 제로금리라서 대출 이자 부담이 과거보다 작고, 정비사업 규제로 인한 주택 공급이 부족하며, 전세금 상승에 따른 높은 전세가율로 인한 매매가 상승 압박 등이 반등의 근거로 꼽히고 있다. 2008년 금융 위기 직전 기준금리는 5.25%였다. 이후 2009년 2월까지 6차례에 걸쳐 2.0%로 내려갔다. 반면 코로나19 사태 발생 전후로 기준금리는 1.25%였다가 2020년 봄, 사상 첫 0%대(0.75%)로 떨어졌다. 이 같은 저금리는 갈 곳 잃은 투자자를 많이 양산한다. 1,000여조 원의 유동자금은 언제든 부동산시장으로 들어올 수 있다.
수익형 부동산이 답이다
수익형 부동산은 틈새시장이라 각광받으면서 이미 뜨고 있다. 2020년 1분기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이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2019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은 1월 2만 8,192건, 2월 2만 7,548건, 3월 2만 7,220건으로 총 8만 2,960건에 달한다. 이는 2019년 같은 기간 거래된 7만 942건과 비교해 약 17% 상승한 수치다.
연도별 1분기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을 살펴보자. 2015년 5만 5,887건, 2016년 5만 3,665건, 2017년 7만 7,716건, 2018년 10만 1,541건, 2019년 7만 942건, 2020년 8만 2,960건이다. 2018년 10만 건 이상의 거래량을 보인 이후 2019년 급감했던 1분기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이 2020년 들어 다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20년 1분기 거래된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은 2010년도까지 통계를 넓혀보아도 부동산 최대 호황기를 보였던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거래량을 보였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주택시장에 대한 고강도 규제가 비규제 지역과 수익형 부동산의 풍선 효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저축은행으로 눈을 돌려라
상대적으로 이자를 더 주는 저축은행과 가까워져 보자. 시중은행은 연 1%대 이자를 주는데 저축은행은 5배 높은 금리를 약속한다. 저축은행들은 결국 시중은행과 경쟁하며 고객 돈을 모아야 한다. 단기적으로 수익성이 떨어져도 높은 금리로 고객들을 유혹한다. 사기는 아니니까 이들의 요구를 들어주자. 물론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신용도는 떨어진다. 금융 위기와 같은 초특급 악재에 약해 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부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5,000만 원까지의 예·적금은 보장해주니 안심해도 된다. 연 5% 이자를 주는 ‘웰뱅하자 정기적금’, 애견족을 위한 ‘JT쩜피플러스 정기적금’ 등 다양한 저축은행 상품들이 이미 준비돼 있다.
금은 언제나 옳다
미국 대형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2020년 들어 새로운 국제 금 현물 목표가를 제시했다. BoA는 코로나19 여파로 금값이 1년 6개월 안에 온스당 3,000달러까지 오를 수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2021년 초까지 금값이 온스당 1,8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번호 | 별점 | 한줄평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수 |
---|---|---|---|---|---|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