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셉마음 : 중환자 Ventilator편
호흡 과정의 기본부터 담아 베이스 Build UP! 세 종류의 기계별 실제 이미지로 생동감과 현장감 UP! 모드 설정, 알람 대처법 팁을 모아 실무 능력 LEVEL UP! 모니터링과 환자 간호까지 통합적 간호 지식 학습이 가능하다.
중환자실에서의 다년간 경험을 바탕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관점에서 중요하게 알아야 할 인공호흡기 내용과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에 대한 간호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집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선생님들이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에게 세심하고 근거 있는 간호를 제공하는 데 이 책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Part 1 호흡기계와 인공호흡
1. 정상호흡 과정
1) 호흡근육
2) 탄성력(Elastance)과 유순도(Compliance)
3) 늑막강(Pleural space)과 폐포(Alveoli)의 압력 변화
4) 산소와 이산화탄소
5) 저산소증(Hypoxia)과 저산소혈증(Hypoxemia)
6) 호흡중추
2. 인공호흡의 원리
Part 2 인공호흡기 치료를 시작하는 환자
1. 적응증
2. 기도 유지 방법
1) 비침습적 환기법(NIV) Interface
2) 기관내관(Endotracheal tube)
3) 기관절개관(Tracheostomy tube)
3. 구조 및 작동법
1) 인공호흡기(Ventilator) 구조
2) Ventilator setting 준비
3) Ventilator 작동법
4) Ventilator 적용 환자의 Bag ventilation
Part 3 인공호흡기 치료를 적용 중인 환자
1. 기본 용어 정의
2. 모드의 정의와 모드별 모니터링 요소
1) V-CMV
2) P-CMV
3) APV-CMV
4) CPAP과 PS
5) NIV
6) V-SIMV
7) ASV
3. 알람 모니터링
1) Pressure 관련 알람
2) Tidal volume, Minute volume 관련 알람
3) Respiration rate 관련 알람
4) PEEP 관련 알람
5) O2 관련 알람
6) 기타 알람
4. 응급 상황 시 대처법
1) 비계획적 발관
2) Cuff leak(커프 누출)
5. 합병증 예방
1) VAP(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2) 스트레스성 위궤양
3) DVT(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 혈전증)
Part 4 인공호흡기 치료를 종료하는 환자
부 록 Ventilator 종류별 용어
번호 | 별점 | 한줄평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수 |
---|---|---|---|---|---|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