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문학 바이블(Bible) <인문학 특강>
독일 문학 바이블(Bible) <인문학 특강> 독일문학은 영국, 프랑스의 문학과 같이 기재문학(記載文學)으로서는 중세(中世)로부터 시작된 것이며 대체로 8세기 이후의 것들이다. 그러나 그 전에 고대 게르만 민족 사이에 전승된 이른바 게르만 문학도 아울러 일컫게 됨은 물론이다. 한마디로 독일문학의 성격을 말하기는 어려우나 주된 특징은 의력적(意力的) 성격이 강한 것이며 목표로 하는 것을 끝까지 추구하는 철저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특히 인간 내면(內面)의 움직임을 주장하는 모습으로 강하게 나타난다. 이런 독일문학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두 개의 가장 큰 정점(頂點), 즉 최성기(最盛期)를 나타내고 있다. 그 하나는 12, 13세기(1150-1250)의 봉건기(封建期)의 문학이며 다른 하나는 18세기에서 19세기의 전환기, 즉 괴테와 실러를 중심으로 수립된 독일 고전주의 문학이 그것이다. 봉건기의 독일문학은 궁정문학과 민족 서사시가 중심이 된다. 즉 기사(騎士)가 소속하는 여러 궁정에서 기사계급의 시인에 의해서 만들어진 궁정문학으로 서사시(敍事詩)와 연애시가 당시 문화의 최상층부의 의식상태를 잘 반영하고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민족적인 기재문학이 생겼다. <니벨룽겐의 노래>는 그 대표적인 민족 서사시라 할 수 있다. 이때까지 여러 방언으로 갈라져서 통일된 문장어(文章語)를 갖지 못했던 독일에 성서번역을 통하여 독일어의 통일을 이룩한 루터는 독일문학사상 빼놓을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한다.
9791130301303
판권 페이지
목차
1. 독일 문학
2. 중세 문학
1) 기사 문학
2) 중세 말기 문학
3. 16~17세기 문학
4. 18세기 문학
5. 19세기 문학
1) 낭만주의 문학
2) 사실주의 과도기
3) 사실주의 문학
4) 청년 독일파
5) 시적 사실주의
6) 자연주의 문학
6. 20세기 문학
1) 인상주의 문학
2) 표현주의-신즉물주의 문학
3) 나치 지배시대
4) 독일 현대 거장 작가
5) 2차 세계대전 후 문학
6) 동독 문학
7) 오스트리아 전후 문학
8) 스위스 전후 문학
번호 | 별점 | 한줄평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수 |
---|---|---|---|---|---|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