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의 심리학, 건강한 까칠함
상대방의 반응을 두려워하는 것을 거부불안이라고 한다. 거부불안의 심리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건강하게
의사표현을 하는 훈련이 필요하다. 까칠하되, 건강하게 까칠한 사람이 되어 당당하게 내 의견을 말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직장, 가정, 친구 사이에는 인간관계로 인해서 종종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인간관계의 상처는 입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원인과 해결책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상대방의 반응을 두려워하여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표현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습니다. 내 의견을 당당하고 말하고 상대방의 의견도 들어주자는 '건강한 까칠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시간으로 건강한 까칠함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직 내에서 받는 가장 큰 스트레스는 인간관계입니다. 조직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구성원이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기 때문에 조직 내에 인간관계의 갈등은 항상 존재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세 가지 R’이라고 하는데, 알아주기, 존중해 주기, 보상해 주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세 가지 R이 충족되었을 때 조직은 소통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인간관계에서 상처를 받았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난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데, 사람들은 나한테 그렇게 안 해 주는 거지? 하는 것은 상대방이 내 생각을 존중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 때문입니다.
서로의 다름을 받아들이기 힘든 이유와 왜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분노를 참지 못하고 쉽게 폭발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화가 나서 폭발을 하고 나서 바로 후회를 합니다. 화가 날 때 분노를 어떻게 다스려야 할까요? 건강한 까칠함을 위해서 분노를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 알아보고, 분노 표현법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 뇌는 좌뇌와 우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일할 때 먼저 크게 전체를 조망하는 것은 우뇌의 기능이며, 세분화하는 것은 좌뇌의 기능입니다. 두 가지가 균형과 조화를 이룰 때 우리의 잠재능
HRI is established by Chung Ju-yung,the first CEO,founder and honorary chairman of Hyundai Group in 1986. HRI is a leading Korean research think tank committed to studying and analyzing the economic and industrial environment as well as reunification economy of Korea. HRI,further,has it’s own businesses such as business consulting,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and knowledge-content business.
현대경제연구원은 현대그룹의 싱크탱크이자 국내 최고의 민간 연구기관이다. 디지털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온-오프 혼합으로 연구, 교육,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종합지식 연구조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 경제의 경쟁력 제ㅗ라는 국가적 과업이 성취되도록, 시대적 비전을 제시하고 실현 가능한 정책 안을 강구하는데 최대한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편집인 이원형은 현대경제연구원에서 연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맨트립, 전자출판, 경제 인문 사회 분야의 전자책을 제작하고 있다. 일반인들을 위한 경제학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1 건강한 까칠함이 필요한 이유
2. 사람들이 원하는 세 가지
3. 서로의 다름을 받아들이기, 심리학의 상대성 이론
4. 건강한 까칠함을 위한 분노 다스리기
5. 우뇌에 답이 있다
6 소파 위의 감자세포가 말해주는 것
7 자신의 잠재능력 백 분 발휘하기
8 언어가 지닌 소통의 힘
9 우리에게는 타고난 공감세포가 있다
10. 바른 생활과 건강한 생활은 다르다
Author : HRI
copyright
번호 | 별점 | 한줄평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수 |
---|---|---|---|---|---|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