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에서는 지방 양반의 삶과 신앙, 사회 변동에 수반한 음악의 변화와 그에 대한 양반의 대처를 살펴본다. 또한 새롭게 문학 작품의 주체로 부각된 중인들의 당시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세계 인식, 양반 여성들의 다양한 글쓰기를 통해 본 여성 삶의 변화, 민중들의 새로운 사회에 대한 이상을 대변해 준 민중 지식인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담았다.
목차
발간사
총론
18세기 전반 향촌 양반의 삶과 신앙
이준(李濬)의『도재일기(導哉日記)』를 중심으로 _ 김영미
Ⅰ. 머리말
Ⅱ. 과거 응시와 경제력
Ⅲ. 질병과 죽음의 고통
Ⅳ. 고통의 초월 : 신앙 생활
Ⅴ. 맺음말
조선 후기 사대부의 일상 복식 _ 홍나영
Ⅰ. 머리말
Ⅱ. 일상 복식의 변천 요인
Ⅲ. 일상 복식의 종류 및 특성
Ⅳ. 맺음말
조선 후기 시전지(詩箋紙), 일상 속의 예술 _ 고연희
Ⅰ. 일상적 글쓰기와 시전지
Ⅱ. 조선 시대 시전지 문화의 배경
Ⅲ. 17세기, 단색(單色)의 단아한 화훼문
Ⅳ. 18세기, 다색(多色)의 시도및 화훼문의 다양화
Ⅴ. 19세기, 청대(淸代) 화풍의 활용 및 사군자 화훼문의 유행
Ⅵ. 시전지 장식의 의미와 예술성
18세기 음악의 '촉급화(促急化)' 현상과 지식인의 대응 _ 성기옥
Ⅰ. 머리말
Ⅱ. 『양금신보』와『어은유보』의 거리 : 고조(古調)와 시조(時調)
Ⅲ. '촉급화' 현상과 18세기 음악 문화의 지형
Ⅳ. 18세기 음악 현상을 바라보는 지식인의 두 시선
Ⅴ. 맺음말 : 문화 변동기로서의 18세기와 현대, 그리고 지식인
18세기 조선 문인의 세계 인식과 문화적 형상화
추재(秋齋)의 「외이죽지사(外夷竹枝詞)」를 중심으로 _ 신하윤
Ⅰ. 머리말
Ⅱ. 추재의 세계 인식
Ⅲ. 죽지사 창작의 의미
Ⅳ. 이문화에 대한 관심
Ⅴ. 인식의 한계
Ⅵ. 맺음말
18세기 양반 여성의 글쓰기의 층위와 그 의미 _ 김경미
Ⅰ. 머리말
Ⅱ. 18세기 양반 여성의 일상과 글쓰기 : 청송 심씨의 경우를 중심으로
Ⅲ. 18세기 양반 여성 글쓰기의 네 가지 범주
Ⅳ. 18세기 양반 여성의 글씨기가 갖는 의미
최시형(崔時亨)에서의 '표현'과 시간 _ 이규성
Ⅰ.머리말 : 근본 경험과 문제 제기
Ⅱ.현존과 '표현(表顯)'
Ⅲ. '자기 인식(自己知)'과 무(無)
Ⅳ. 개방성과 연대성
Ⅴ. 시간과 영원
Ⅵ. 맺음말 : 논의할 문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