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기업경영 20년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는 2008년의 시점에서 한국 기업의 지난 20년을 정리!
『한국의 기업경영 20년』은 지난 20년간 한국 기업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를 수록하고 있다. 10명의 연구원이 1년 반의 시간을 들여 만든 이 책은 기업을 보는 EGSOP(환경, 지배구조, 전략, 조직, 성과) 모델을 기반으로 외환위기를 전후한 한국기업의 20년사, 통사적으로 살펴본 한국기업의 20년사를 정리하였다.
한국 기업들은 1987년 이후 지난 20년간 다른 나라에서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급격한 환경 변화를 겪었다. 외환위기를 거치며 수많은 기업이 사라지기도 했고, 온 나라가 벤처 열풍에 휩싸여 들썩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기업들은 지배구조, 전략, 운영 시스템 등을 포함한 경영 패러다임 자체가 변화하였다.
본문에는 이렇게 지난 20년 간 우리 기업이 겪은 위기와 극복 과정을 통찰하였다. 특히 성공뿐만 아니라 실패도 냉정하게 평가하고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도 모색하였다. 그리고 한국 기업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를 지배구조, 전략, 운영시스템의 관점에서 세밀히 조명하였다. 또한 앞으로 10년간 한국기업이 급격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제언하였다.
☞이 책의 독서 포인트!
성공의 역사와 함께 기업 실적으로 평가한 경영성적표가 자세히 나와 있다. 저자들은 이를 통해 좀 더 긴 호흡으로 새로운 10년을 준비하자고 역설한다. 우리 기업의 질적 경쟁력이 얼마나 어떻게 강화되었는지를 점검하고, 향후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무엇을 경쟁력으로 삼아야 할지에 대해 유용한 힌트를 발견할 수 있다.
대표필자 : 정구현(삼성경제연구소 소장)
집필진
강원(경영전략실 수석연구원)
강한수(경영전략실 수석연구원)
김은환(인사조직실 수석연구원)
김종년(경영전략실 수석연구원)
배성오(인사조직실 수석연구원)
신형원(마케팅전략실 수석연구원)
이민훈(마케팅전략실 연구원)
태원유(인사조직실 수석연구원)
한창수(경영전략실 수석연구원)
시작하는 말
1부 한국 기업 20년사
01 시대 구분과 거대 변화
02 민주화와 외형 성장: 1987~1997년
민주와 개방
기회와 투자
03 외환위기와 체질 개선: 1997~2007년
위기와 해체
내실과 혁신
2부 기업생태계의 변화와 경영성적표
01 한국 기업생태계의 변화
글로벌 대기업의 출현
벤처 버블과 붕괴
소기업의 경영 악화
02 한국 기업 20년의 경영성적표
재무구조는 견실해졌으나 성장성이 문제
수익성 패러독스: 수익성을 중시했으나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
한국 100대 기업의 경영 성과
한국 경제를 이끄는 10대 기업
글로벌 기업 후보군이 부족한 한국 기업
3부 한국 기업 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01 지배구조·전략·시스템의 3중주
02 기업소유·지배구조
지배구조의 급속한 변화
소유구조 변화 압력과 유지 노력
03 경영전략
사업 전략: 선택과 집중
글로벌 전략: 국내에서 해외로
고부가 전략: 양에서 질로
04 운영 시스템
능력·성과주의의 급진전
인력 관리의 다양화
고용유연화의 진전
프로세스 혁신
4부 새로운 10년, 한국 기업의 과제
01 한국기업이 맞이할 환경과 과제
세계 경제 환경의 변화
한국 기업 경영의 변화
새로운 10년을 위한 제언
02 전략 고도화
지식 기반 소프트 역량 강화
글로벌 전략의 고도화
기업 네트워크 강화
03 혁신자형 운영 시스템
글로벌 운영 시스템 구축
지식 창조를 위한 조직 재설계
04 시장의 선택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역동적 기업생태계 구축
한국형 지배구조 모색
사회적 책임 강화
참고문헌
번호 | 별점 | 한줄평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수 |
---|---|---|---|---|---|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