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조선총독부 공문서
- 저자
- 박성진
- 출판사
- 역사비평사
- 출판일
- 2007-07-25
- 등록일
- 2013-05-20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175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조선총독부 공문서 이해를 위한 길잡이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기록학적 시각으로 접근한 연구서 <조선총독부 공문서>. 일제 식민정책사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사료인 조선총독부 공문서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기록학 연구방법론에 입각해 조선총독부가 어떤 공문을 어떻게 생산하고 관리하였으며, 각 공문이 식민통치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일제의 기록관리체제와 그들의 식민지 지배방식을 살펴본다.
이 책은 근대적인 공문서 양식이 자리 잡기 시작한 대한제국기 공문서 양식의 변화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문서양식을 비교하며, 근대 공문서 양식의 탄생과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문서주의에 입각한 조선총독부 공문서 양식의 표준화 작성 과정과 유통 경로, 보존과 활용, 비밀기록관리와 문서 폐기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일제의 공문서 관리체제가 원활한 식민지 관리를 위한 문서 생산, 유지, 활동에 치중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조선총독부 기록관리방식 자체를 검토한 개별 연구를 넘어 식민지 기록관리와 식민통치의 본질을 연결해 연구하고 있으며, 그러한 점에서 기록학계 연구의 일보 전진을 보여주는 책이다. 역사학과 기록학의 경계에서 이 둘의 공통 영역에 관한 사례 연구로서 기록학과 역사학의 연구방법론 확대에 기여하고, 기록관리의 중요성과 기록학 연구의 사회적 필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했다.
저자소개
박성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의 사회사상을 주제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을 수료하였다. 최근에는 식민정책사와 근현대 기록관리체제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현재 국가기록원에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사회진화론과 식민지 사회사상』이 있으며, 식민정책사와 사회사상, 근현대 기록관리제도 등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승일
한양대학교에서 조선총독부 법제정책을 주제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을 수료하였다. 최근에는 한국 법제사와 근현대 기록관리체제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현재 국회기록보존소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국가기록원 소장 조선총독부 법무 문서군의 분류 방안」「조선총독부 공문서의 기록학적 평가」「조선총독부 공문서제도」「조선총독부의 '조선도서 및 고문서'의 수집분류 활동」등이 있다. 그 밖에 한국 근대 법제사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총론
제1부 공문서관리의 근대적 변화
제1부를 시작하며
제1장 근대 초기 공문서 양식의 변화 - 국서의 양식 변화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국서의 개념
3. 외교문서 생산기관
4. 국서의 문서 양식
5. 문서 양식 전환의 특징
6. 맺음말
제2장 조선총독부 기록관리체제의 특징과 기록관리
- 기록 생산에서 편찬, 보존까지의 과정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조선총독부 기록관리 조직과 법령의 구조
3.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생산 과정
4. 공문서의 발송과 접수
5. 공문서의 편찬과 보존
6. 맺음말
제2부 조선총독부의 공문서 정리와 분류
제2부를 시작하며
제1장 식민지 시기 공문서 정리 및 분류 방식
1. 머리말
2. 공문서관리규정의 일원화
3. 공문서 정리 및 분류 방식
4. 맺음말
제2장 국가기록원 소장 조선총독부 법무 문서군의 분류 방안
1. 머리말
2.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 방법론
3. 조선총독부 본부의 조직 연혁
4. 조선총독부 법무국의 조직 및 기능 분석과 기록 분류
5. 맺음말
제3부 조선총독부의 공문서 보존 기준과 기록학적 평가
제3부를 시작하며
제1장 식민지 시기 공문서 보존기간 책정기준과 가치평가
1. 머리말
2. 일본 메이지.다이쇼 시기 종별보존제의 성립
3. 조선총독부 보존문서의 종별 구분
4. 맺음말 - 가치평가의 방향
제2장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기록학적 평가 - 조선총독부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군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기록의 가치개념과 평가이론의 검토
3. 기록의 선별 배경으로서의 사회적 컨텍스트
4. 기록의 선별 요건으로서의 조직 및 기능의 가치 서열화
5. 맺음말
제4부 식민지 지배체제와 조선총독부 공문서
제4부를 시작하며
제1장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통해 본 식민지배의 양상
- 조선총독의 제령 제정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조선총독의 제령 제정과 일제 식민지 지배체제
3. 조선총독부 공문서에 드러난 식민지배의 양상
4. 맺음말
제2장 식민지권력의 비밀기록 생산과 활용 - 현존 조선총독부 경무국 자료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경찰 조직의 변천과 비밀관리
3. 비밀기록의 유형과 사례
4. 비밀기록의관리의 특징
5. 맺음말 - 비밀관리의 특징
제3장 조선총독부의 고기록 정리와 기록물 수집정책
1. 머리말
2. 식민지 초기 조선총독부의 기록물 정리
3. 조선사 편찬 사업과 사료 수집
4. 맺음말
부록
논문이 처음 실린 곳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소장하고 있는 국내 기관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