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저자 미셸 앙리(Michel Henry, 1922~2002)는 프랑스 현상학자 중 가장 근본적이라고 불리는 미셸 앙리의 현상학은 ‘물질 현상학’ 혹은 ‘삶의 현상학’이라 불린다. 그의 현상학은 프랑스 내 현상학의 흐름 안에서 사르트르와 특히 메를로-퐁티의 ‘세계의 현상학’과 근본적으로 대립되면서 레비나스, 데리다와 함께 ‘세계 밖의 현상학’으로 구분된다. 그는 또한 소설 세 권을 발표한 소설가이기도 하다. 주요 저서로는 『현시의 본질』(1963), 『신체의 철학과 현상학』(1965), 『마르크스』(1976), 『정신 분석의 계보학 : 읽어버린 기원』(1985), 『야만』(1987), 『보이지 않는 것을 보다 : 칸딘스키에 대하여』(1988), 『물질 현상학』(1990), 『공산주의에서 자본주의로 : 재난의 이론』(1990), 『내가 진리다 : 기독철학을 위하여』(1996), 『육화, 살의 철학』(2000), 『그리스도의 말』(2002) 등이 있고, 유고집으로는 네 권으로 된 『삶의 철학』(2003~2004)이 있으며, 그의 대담들과 강연들을 모은 『자기-증여. 대담과 강연들』(2004), 『대담들』(2005)이 있다. 대표적인 소설로는『사랑, 감은 눈』(1976)이 있으며, 이 소설은 그 해에 르노도상을 받았다.
목차
서론
육화에 대한 질문
I. 현상학의 전복
1. 현상학의 대상: ‘나타남’에 대한 질문
2. 현상학의 현상학적인 전제들의 애초의 비규정성: ‘현상학의 원리들’
3. 현상학의 전제의 감춰진 편견: 모든 ‘나타남’을 세계의 나타남으로 환원하는 파괴적인 환원
4. 하이데거에서 현상학의 위기: ‘세계’의 나타남의 존재론적 빈곤
5. 언어의 기준: 언어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의 결정적인 진전과 한계
6. 탈실재화의 힘으로서 ‘세계’의 역설
7. 실재의 설립자로서 인상에 대한 핵심적인 질문: 인상의 현상학적 지위의 문제, 지향성과 인상
8. 시간의 흐름 안에서 인상의 자기 밖에 도래와 인상의 파괴
9. ‘본래적 인상’의 기원: 인상의 현상학에서 삶의 현상학으로의 불가피한 반송
10. 인상의 본래적인 수동성과 삶의 초월론적인 정감성 안에서 ‘정념’: 살아 있는 현재
11. 본래적 나타남에 대한 질문과 데카르트의 코기토: 코기토에 함축된 세 개의 근본적인 질문
12. 데카르트의 코기토에 대한 후설의 잘못된 해석과 그 결과들: 단독적인 삶에 대한 불신과 현상학적 방법의 주제 변경 안에서 삶의‘본질’에 의한 단독적 삶의 대체
13. 주제의 변경에 대한 분석: 현상학적 방법의 아포리아
14. 아포리아를 극복하기 위한 궁극적인 시도: 비가시적인 삶의 ‘이미지로 된 소여’에 대한 질문
15. 현상학적 방법의 토대로서 삶의 본래적인 자기-계시: 삶의 사유 가능성에 대한 철학
일반의 문제에 대한 대답
II. 살의 현상학
16. 세계의 나타남과 내용: ‘감각적 세계’에 대한 질문
17. 감각적 세계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 갈릴레이의 환원의 기여와 한계들
18. 데카르트의 반-환원적 태도
19. 『위기』에서 갈릴레이의 환원에 대한 후설의 비판
20. 세계의 감각적 신체의 분석의 회귀: 느껴진 신체에서 그것을 느끼는 초월론적인 신체로의 반송, ‘감각적’이라는 개념의 애매성
21. 느끼는 신체와 느껴지는 신체 대립의 극복 시도: 후기 메를로-퐁티의 철학적 문제와 감각적인 것의 절대화
22. 초월론적인 신체의 분열: 자신의 본질을 삶 안에서 발견하는 내재적인 본래적 신체성
23. 절대적 삶 안에서 살의 생성: 이 생성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살의 본래적이고 현상학적인 특징들
24. 신체의 그리스적 개념화에서 살의 현상학으로: 이레네오와 터툴리안의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들
25. 삶의 현상학적 물질이며 삶의 자기-계시로서 살에 대한 근본적인 해석: 이레네오의 기독교적 코기토
26. ‘나는 할 수 있다’에 대한 분석, 신체의 만질-수-있음과 신체에 부여된 모든 할 수 있음의 조건으로서 스스로-움직일-수-있음: 콩디악과 멘느 드 비랑
27. 살, 세계의 기억할 수 없는 기억
28. 살, 감각과 세계 이전에 주어진 알려지지 않은 신체의 증여의 장소: ‘유기적 신체’의 구조화와 속성들
29. 유기적 신체의 살적 충동으로서 행위의 본래적인 가능성: 세계의 내용의 비가시적인 실천적 실재, 객관적인 고유한 신체의 구성과 지위
30. 『이념들 II』의 3장에서 고유한 신체의 구성이론: ‘나는 할 수 있다’와 유기적 신체의 실존과 신체 위에 우리의 인상들의 자리잡기라는 삼중의 초월론적인 가능성의 은폐
31. 키아즘의 회귀: ‘만져짐’의 의미, 고유한 신체의 구성이론의 완성으로서 피부의 현상학
32. 콩디악의 테제의 회귀: 조상造像의 자기-에로티시즘, 상실의 장소로서 살, 살의 현상학에서 육화의 현상학으로의 필연적인 이행
III. 육화의 현상학-기독교적 의미에서 구원
33. 현상학의 전복과 살의 현상학적 분석의 의해 얻은 결과들의 요약
34. 육화의 현상학 안에서 ‘나는 할 수 있다’에 대한 질문
35. ‘나는 할 수 있다’의 환상과 실재
36. 삶의 망각과 일상적인 실천의 정념 안에서 삶의 상기
37. 삶의 망각과 불안 안에서 삶의 정념적인 상기
38. 나타남의 이중성과 불안의 배가
39. 욕망과 ‘죄 안에서 도약’
40. 성적인 관계의 초월론적인 두 개의 살: 기술記述의 자아
41. 삶의 내재성 안에서 성적인 관계: 욕망의 실패
42. 세계의 나타남 안에서 성적인 관계: 실패의 반복
43. 허무주의 시대에 성적인 관계의 객관적인 성관계로의 환원
44. 삶은 이유가 없다: 삶은 선하다
45. 수동성의 정도들: 창세기에서 요한복음의 1장까지
46. 이레네오와 아우구스티누스에서 구원의 길
47. 삶의 현상학에서 타인의 경험
48. 기독교에서 타인과의 관계: 그리스도의 신비한 신체
결론
현상학과 신학을 넘어서: 요한의 최초의-지성체
옮긴이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