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서 시민미디어에 대한 필요성과 논의가 그 어느 때보다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디어에 대한 시민참여 현황을 종합하고 국내에 정착 가능한 시민참여, 시민미디어의 방안을 모색한 책이다.
저자소개
목차
머리말 v
제1장. 시민미디어의 이해 1 1. 시민미디어의 개념 1 2. 시민미디어의 필요성 6 3. 시민미디어의 이론적 지평 10 3.1. 공공영역과 의사소통 합리화 10 3.2. 시민참여 미디어제도론 17 3.2.1. 맥퀘일의 ‘민주적 참여 미디어’ 이론 19 3.2.2. 커런의 ‘민주적 미디어체계’ 모델 21 3.2.3. 키인의 ‘시민사회 규제론’ 27 3.3. 수용자주권론 32 4. 시민미디어를 위한 논의 지형 38 4.1. 대안미디어 38 4.2. 퍼블릭액세스 45 4.3. 시민저널리즘 50
제2장. 시민참여 미디어의 유형:해외 사례 58 1. 시민참여의 유형과 범주 58 2. 시민참여 미디어의 수준별 유형 62 2.1. 소유구조 액세스 62 2.1.1. 네덜란드의 참여방송 제도 62 2.1.2. 스웨덴의 다원적 방송소유 제도 70 2.2. 제도화된 채널 액세스 76 2.2.1. 미국의 퍼블릭 액세스 채널 78 2.2.2. 독일의 개방채널 81 2.2.3. 호주의 커뮤니티 방송 86 2.3. 공공단체에 의한 채널 액세스 89 2.3.1. 미국 Free Speech TV(FSTV) 90 2.3.2. 미국 Deep Dish TV 95 2.3.3. 네덜란드의 SALTO 98 2.4. 프로그램 액세스 100 2.5. 대안적 액세스 104 2.5.1. 환경전문채널 WETV 104 2.5.2. 쿠르드족 방송 MED-TV 108 3. 시민저널리즘과 시민참여 111 3.1. 시민과 언론의 연계:시민저널리즘 111 3.2. 다원화된 시민저널리즘 117 3.2.1. 지역공동체 탐구 및 숙의 모임 활성화 117 3.2.2. 선거보도와 시민의제의 개발 119 3.2.3. 인터넷을 통한 시민참여 일상화 122 4. 해외 사례의 특징 124
제3장. 시민미디어와 시민사회 129 1.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129 1.1. 시민사회의 개념과 구조 130 1.1.1. 자유주의적 시민사회론 131 1.1.2. 마르크스적 전통의 시민사회론 133 1.1.3. 시민사회론의 쟁점과 ‘국가-경제-시민사회’ 모델 137 1.2.1. 신사회운동의 배경과 이념적 지형 139 1.2.2. 신사회운동의 특성 146 2. 한국 시민사회의 특수성과 시민운동 151 2.1.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특수성 151 2.2. 한국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156 2.2.1. 시민운동의 발전과정 156 2.2.2.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분화 161 2.2.3. 시민운동의 내부분화 164 2.2.4. 시민운동과 신사회운동 166 3. 한국 언론구조의 변화와 시민액세스의 확장 168 3.1. 정치체제와 국가-언론 관계의 변동 168 3.1.1. 1987년 이전:권위주의 국가와 ‘제도언론’ 168 3.1.2. 1987년 이후:언론자유화와 국가의 포섭 173 3.1.3. 국가와 언론의 조합주의:언론의 유사 권력화 176 3.1.4. 언론개혁과 시장경제 178 3.2. 자본의 언론개입과 영향력 183 3.2.1. 자본의 언론개입 구조 183 3.2.2. 언론시장의 왜곡 190 3.3. 언론운동과 시민액세스의 확장 196 3.3.1. 시민언론운동의 성장 197 3.3.2. 시민언론운동의 주체와 이슈 변화 205 3.3.3. 시민언론운동과 언론노동운동 213 4. 시민참여 미디어의 토대와 가능성 220
제4장. 한국의 시민참여 미디어 223 1. 액세스 프로그램 225 1.1. KBS의 ‘열린채널’ 225 1.1.1.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의 의무화 225 1.1.2. 운영지침 및 방송현황 229 1.1.3. 운영의 문제점 및 과제 234 1.2. 케이블TV의 액세스 프로그램 238 1.2.1. 법적 근거 및 문제점 238 1.2.2. 시청자 제작프로그램 사례 241 1.3. 지역 TV방송의 액세스 프로그램 244 1.4. 라디오방송의 액세스 프로그램 247 1.4.1. 라디오방송과 액세스 247 1.4.2. 마산 MBC의 ‘여론중계실’ 249 2. 위성방송의 시민채널(액세스채널) 252 2.1. 시민채널의 설립 배경 253 2.2. 시민방송 R-TV 257 3. 온라인 저널리즘과 시민참여 웹미디어 262 3.1. 인터넷의 개방성:시민참여 공간의 확대 262 3.2. 시민참여 웹미디어:오마이뉴스 270 4. 지역신문과 지역공동체 공공영역 276 4.1. 지역신문과 공공영역의 가능성 277 4.2. 공공영역 구축을 위한 지역신문 사례 281 4.2.1. 홍성신문 282 4.2.2. 옥천신문 283 4.2.3. 해남신문 285
제5장. 한국 시민참여 미디어의 발전 과제 287 1. 법·제도적 구조 288 1.1. 방송법의 모호성 및 제한성 288 1.1.1. 액세스 개념의 모호성 289 1.1.2. 액세스 규정 범위의 국한 290 1.1.3. 공공채널의 성격과 케이블TV의 강제력 292 1.2. 인터넷신문의 법적 지위 294 1.3. 지역신문 지원 정책 295 2. 운영구조의 개선 297 2.1. 심의주체와 기술장벽 297 2.2. 재정적 안정성 확보 300 3. 시민참여 토대의 구축 303 3.1. 시민단체의 협력 303 3.2. 미디어센터 설립 306 4. 시민참여 미디어의 활성화를 위하여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