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자녀와 함께 옛 글의 깊은 즐거움을 천천히 맛보라!
한문학자 김승룡이 권하는 부모와 자녀가 꼭 함께 읽어야 할 우리 고전 『사람의 향기』.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 저자가 25년간 옛글을 읽고 공부하면서 느꼈던 생각을 담은 책이다. 옛 선비들이 남긴 39편의 글을 가려 뽑아 이해하기 쉬운 현대말로 옮겼으며, 옛글에 담긴 선인들의 삶을 통해 지금 우리의 삶을 돌아보는 ‘마음 읽기’를 덧붙였다. 특히 낯선 어휘나 당대의 시대상황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한 경우 우리 고전을 청소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주를 달아 낱말의 뜻을 친절하게 풀이했으며, 인물과 해당 저서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실었다. 부모와 자녀가 함께 천천히 이 책을 함께 읽으면 선인들의 깊은 지혜를 얻을 뿐만 아니라 우리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 김승룡
저자 김승룡(金承龍)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ㆍ 박사과정을 마쳤고, 중국 북경대학교에서 초빙교수를 두 차례 지냈다. 지금은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고전 속에서 청년의 ‘희망’을 찾기 위해 옛글을 강의하고 번역하며 글을 쓴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정감을 가지런히 담아낸 한국 한시들, 다양하게 굴곡진 삶을 오롯이 표현한 《사기열전》, 자본의 시대를 살아낼 가치로 ‘소박’의 아름다움을 일깨워준 《묵자》를 주목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시각의 모색》 《새 민족문학사 강좌(상)》(공저) 《고전의 반역》(공저)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송도인물지》 《악기집석樂記集釋》 《매천야록梅泉野錄》(공역) 《우붕잡억牛棚雜憶》(공역) 《유미유동留美幼童》(공역)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 내 안의 고전을 세상에 보내며
1 삶은 단순하고 명쾌하다
용서와 질투 / 이익 《성호사설》
마음 읽기_ 삶을 넉넉하게 만드는 방법, 용서와 인정
금남에 사는 시골 사람 / 정도전 《삼봉집》
마음 읽기_ 삶은 단순하고 명쾌하다, 말을 앞세우지 마라
헛된 소문 / 이광정 《망양록》
마음 읽기_ 고요한 마음으로 응시하면 진실이 보인다
선비는 욕심을 적게 가져야 외 / 이수광 《지봉유설》
마음 읽기_ 조급한 욕망은 허망할 뿐이라
다섯 가지 사람됨 / 장유 《계곡만필》
마음 읽기_ 의리와 이욕, 상대에 대한 존중에 달려 있다
양촌기 / 이색 《목은집》
마음 읽기_ 안으로는 참되고 밖으로는 따뜻하게
만랑수 / 성현《부휴자담론》
마음 읽기_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순간 ‘숲’이 된다
2 끊임없는 수양으로 가난한 마음을 지켜라
책 속에서 찾는 길 / 홍길주 《수여방필》외
마음 읽기_ 글자 너머 일상이 모두 책이다
시골에서 살며 나를 경계하는 글 / 이승휴 《동안거사집》
마음 읽기_ 끊임없는 수양으로 가난한 마음을 지켜라
눈 뜨고 볼 수 없는 식탐자 / 유몽인 《어우야담》
마음 읽기_ 우리 안의 욕망을 직시하라, 불편한 진실을
세상을 보는 또 다른 대롱 / 조희룡 《우봉척독》
마음 읽기_ 자신의 눈과 마음으로 책을 읽고 세상을 바라보라
요사스러운 말 / 이종휘 《수산집》
마음 읽기_ 망언을 일삼는 하등인을 벗어나고파
3 남을 이해하는 일은 또 하나의 세상을 품에 안는 일이다
찾아줌에 감사하며 / 임춘 《서하집》
마음 읽기_ 사람을 반기는 사람 냄새 나는 겸손에 대하여
강이원에게 주는 편지 / 정약용 《여유당전서》
마음 읽기_ 남을 이해하는 일은 또 하나의 세상을 품에 안는 일이다
벗에 대한 성찰 / 이덕무 《청장관전서》
마음 읽기_ 벗이 있어 행복한 삶, 그 벗을 위한 살뜰한 마음
북경으로 떠나는 이성징을 전송하면서 / 유몽인 《어우집》
마음 읽기_ 어느 한 편을 버리면 모두가 벗이 되는 법
대인 외 / 이지함 《토정유고》
마음 읽기_ 진정한 벗으로 서는 길, 상처 주지 않고 온전하게 살려주기
호귀복과 이창매 / 김택영 《숭양기구전》
마음 읽기_ 지극한 정성, ‘기적’이라는 황홀한 이름을 얻다
사랑과 미움에 대한 잠언 / 이달충 《제정집》
마음 읽기_ 남의 말을 듣기에 앞서 나를 바르게 가다듬다
종정도 놀이, 권필 《석주집》
마음 읽기_ 사람과 벼슬 사이에 공백 없어야
4 사람은 역사의 색인이다
영남의 괴로움 / 충지 《원감국사가송》
마음 읽기_ 생명을 살리는 소중한 비처럼 따스한 마음으로
동래 할미 / 허목 《기언》
마음 읽기_ 역사도 갈라놓지 못한 두 모녀, 생명의 힘
몽둥이에 새긴 글 외 / 박종채 《과정록》
마음 읽기_ 기록은 역사가 주는 선물이다
이완용과 콜브란 / 황현 《매천야록》
마음 읽기_ 매국과 애국의 차이
기홍수와 차약송 외 / 이제현 《역옹패설》
마음 읽기_ 공공의 윤리 회복은 민심을 얻는 길이다
의병을 일으키라! / 최익현 《면암집》
마음 읽기_ 나라를 팔아먹고 신의를 버린 자, 매우 쳐라!
역사의 파괴 외 / 신채호 《조선상고사》, 최익한 〈동아일보〉 수록
마음 읽기_ 현재의 이익을 위해 과거를 왜곡하지 마라
5 사랑하는 이를 위해 크게 울어주리다
옷을 전당잡히고서 /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마음 읽기_ 살림을 모르는 남편, 아내에게 감사할지어다
당신을 떠나보내며 / 김종직 《점필재집》
마음 읽기_ 사랑하는 이를 위해 크게 울어주리다
호녀와 김현 외 / 일연 《삼국유사》
마음 읽기_ 가족에 가려진 여성들, 허물어진 사랑의 몸짓
아버지의 가르침 / 기대승 《고봉집》
마음 읽기_ 소박한 잔소리에서 부모님의 삶의 지혜를 본다
궁핍한 죽음을 슬퍼하며 / 유최진 《초산잡저》
마음 읽기_ 살고 싶다는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못했던 미안한 마음
6 더디 가더라도 옳게 가면 늦지 않다
밤나무 집 이야기 / 백문보 《담암일집》
마음 읽기_ 더디 가더라도 옳게 가면 늦지 않다
합덕피의 물을 보고 / 이옥 《문무자집》
마음 읽기_ 경이로운 여정을 떠난 물, 고였다 흐르며 이로워라
바람이 사는 집 / 김매순 《대산집》
마음 읽기_ 바람은 언제나 나와 함께 있었고, 있으며, 있으리라
나의 선생, 매화 외 / 조희룡 《한와헌제화잡존》
마음 읽기_ 봄내는 흐르고 매화가 피었네
솔화분을 파는 사람 / 조수삼 《추재집》
마음 읽기_ 화분에 담긴 나무에서 꿈틀대는 생명력을 보다
머리가 새인 사람 / 최자 《보한집》
마음 읽기_ 슬퍼서 하얗게 된 엄마 까치, 사람인가 짐승인가?
최해의 오만 / 서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