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20세기 전반기 식민지 조선 사회에 나타난 '신여성'과 이를 둘러싼 담론 및 사회 현상을 '근대성'에 입각하여 연구한 책. 여성에 대한 개념 정의와 변천부터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을 둘러싼 신여성의 자기정체성 문제까지를 날카롭게 분석하고 있다. 저자는 성과 사랑, 신체와 단발, 스포츠, 소비와 유행, 지식과 교육, 일과 직업 등 여러 영역에 걸친 신여성 담론의 계보를 정리한다. 또한 여성에 관한 상당수의 연구들이 범하고 있는 남성 지배의 시선과 권력 작용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있다. 『신여성』『여성』『별건곤』 등 당시 신여성들의 목소리를 생생히 중계한 서적 속에서 발췌한 사진과 삽화가 내용 이해를 돕는다.
저자소개
◆ 저자 김 경 일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뉴욕주립대(Binghamton)와 파리인문과학연구소(Maison des Sciences de L'Homme)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쳤다. 덕성여대 교수, 미국의 일본 도쿄대학 경제학부 객원연구원, 미국 버클리대학 교환교수 등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사회학 전공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집중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다. 사회과학이 노동자나 빈민·여성;이민자 등과 같이 주류로부터 배제되고 억눌려온 범주들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들이 좀더 분명하게 자기 목소리를 내고 사회에서 정당한 자기 자리를 찾도록 하는 것이 학문의 한 역할이 돼야 한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또 한국에서 페미니즘이 자신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감수성과 상상력을 가져야 한다는 지론을 갖고 있다. 한국사회사와 사회사상, 역사사회학, 동아시아론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저자는, 요즘 동아시아에서 근대의 문제와 신여성의 가족을 중심으로 한 여성사에 천착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일제하 노동운동사'(창작과비평사 1992), '이재유연구'(창작과비평사 1993), '지역연구의 역사와 이론'(문화과학사 1998),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백산서당 2003), '동아시아의 민족이산과 도시: 20세기 전반기 만주의 조선인'(공저, 역사비평사 2004), '한국노동운동사 2, 일제하의 노동운동: 1920-1945'(지식마당 2004),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문학과 지성사, 2004) 등이 있다.
목차
- 책을 읽기 전에
[ 1. 근대의 옷을 입은 신여성의 출현 ]
1. 근대와 여성의 만남
2. 일본의 '모던 걸'과 조선의 '신여성'
3. 여성에 관한 관찰은 편견과 혹평으로 충만한 바
-
[ 2. 변화와 갈등의 물결을 타다 ]
1. '신여성' 담론의 계보학
2. 여성 해방 욕구의 분출 _ 1880-1910년대
3. 동경의 대상으로 자리한 신여성 _ 1920-1930년대 중반
4. 원피스를 벗어던지고 '전사'로 _ 1930년대 후반 - 1945년대
-
[ 3. 자기정체성에 눈뜨다 ]
1. 동화 혹은 저항, 식민지 신여성의 선택
2. 타자로서의 근대, 서구와 일본
3.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앞에서 분열된 자아
4. 미완성의 과제, 여성의 근대
-
[ 4. 성과 사랑의 자유를 부르짖다 ]
1. '연애'의 탄생
2. 다양한 성 담론
3. 향락과 퇴폐로 얼룩진 성
4. 세 가지 사랑의 유형
5. '근대'의 표상으로서의 성과 사랑
-
[ 5. 단발에 스카프를 두르고 종로거리를 활보하다 ]
1. 근대성의 분열과 여성의 몸
2. 몸과 성 정체성의 변화
3. 단발 시대의 도래
4. 스포츠를 즐기는 여성들
5. 신여성의 몸과 근대성
-
[ 6. 소비와 유행의 선두에 서다 ]
1. 근대의 도시 문화
2. 모던 걸의 소비 문화
3. 도시의 욕망이 흐르는 카페
4. 사치와 허영이라는 낙인
5. 전통의 역할과 식민지 현실
-
[ 7. 학교에 가다 ]
1. 여성 교육의 근대화와 한계
2. 여성 교육의 실태와 현상
3. 일본에 동화시키기
4. 우민화 정책의 희생자
5. 식민 제국을 위해 노동하는 여성들
-
[ 8. 학교제도를 비판하다 ]
1. 여성을 타자화하는 식민 교육
2. 우리에게 맞는 교육을!
3. 교육 기회의 불평등 _ 1920년대
4. 방향과 목표를 상실한 식민 교육 _ 1930년대 이후
-
[ 9. 직업전선에 뛰어들다 ]
1. 신여성과 직업
2. 경제 활동과 직업 구조의 변화
3. 제한적이고 불평등한 직업의 기회
4. 능력보다 외모
5. 여성들이 일하는 이유
- 수록된 글의 출전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