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의 평생교육
군 내에서 직접 인적자원개발계획을 기획하고 추진한 저자가 수많은 국방부 자료와 관련 인물들에 대한 인터뷰를 바탕으로 1945년 건군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군 평생교육 정책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시기별로 분석한 박사학위논문을 책으로 엮었다. 평생교육 영역에서 제대로 연구된 적 없는 한국군 평생교육 정책사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첫 연구물로 평가받는 이 연구를 통해 한국군의 평생교육이 발전한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추천의 글
머리말
서론
1부 군 평생교육의 개념과 특징
1장. 군 평생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2장. 군 교육 훈련의 이념과 기본 체계
3장. 한국군 평생교육의 체계
2부 한국군 평생교육의 변천 과정
4장. 건군기: 해방 이후~1960
5장. 국방 체제 정립기: 1961~1971
6장. 자주국방기: 1972~1989
7장. 국방 태세 발전기: 1990~현재
8장. 시대별 군 평생교육 프로그램
3부 외국의 군 평생교육
9장. 미군의 성인교육과 계속교육
10장. 영국군의 개인별 교육 훈련과 능력 개발 지원
11장. 독일군의 평생교육
12장. 프랑스군의 평생교육
13장. 일본군의 교육 훈련을 통한 능력 개발 지원
14장. 이스라엘군의 평생교육
15장. 캐나다군의 개별 교육 훈련
16장. 동유럽 국가 및 베트남의 문해교육
4부 군 평생교육 발전을 위한 제언
17장. 군 평생교육의 전망
18장. 정책 제언
부록 군 평생교육에 대한 평가 모형
1. 교육평가의 의미와 개념
2. 교육평가 모형의 유형
3. 군 평생교육 분석 모형
참고문헌
표 차례
그림 차례
번호 | 별점 | 한줄평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수 |
---|---|---|---|---|---|
등록된 한줄평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