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조선의 문화공간 1
- 저자
- 이종묵
- 출판사
- 휴머니스트
- 출판일
- 2006-08-07
- 등록일
- 2013-05-20
- 파일포맷
- PDF
- 파일크기
- 35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조선시대 문인의 땅과 삶에 대한 문화사를 전해주는 <조선의 문화공간>. 문학, 사상, 예술, 풍류를 아우른 조선의 사람과 땅, 그 시대의 문화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조선의 개국에서부터 19세기까지 조선 500년을 풍미한 조선의 사대부 87인의 전기적 초상이 그들이 마련한 아름다운 문화공간을 배경으로 펼쳐진다. 시대와 환경, 처지에 따른 다양한 삶의 방식을 생생한 서사시로 풀어내고 있다.
<조선의 문화공간>은 조선초기에서 후기까지 모두 4책으로 구성하였다. 시대에 따라 책을 나누고, 처지에 따라 다시 장을 나누었다. 1책『조선초기-태평성세와 그 균열』에서는 조선 개국 후 태평을 구가하던 시절에서부터 사화로 인하여 사람이 유배를 떠나는 시기까지를 다루고 있다. 도성에 끌어들인 산수와 한강변의 누정을 살피고, 유배지에 이어 강학의 공간 독서당을 살펴본다.
저자소개
이종묵(李鍾默)
1961년 청도 출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부와 대학원을 마쳤다. 옛것을 좋아하여 우리나라 한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조선전기 우리 한시의 창작방법과 문예미학을 탐색하여 〈해동강서시파(海東江西詩派) 연구〉로 문학박사가 되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서를 많이 소장하고 있는 장서각과 규장각이 있는 학교에서 근무하였으니 고서와 인연이 깊다. 그래서 고서를 뒤적이면서 조선시대 사람들이 산수 간에 집을 짓고 사는 멋을 적은 글을 많이 읽었다. 10년 남짓 옛사람들이 살던 땅에 대한 자료를 모으고 글을 썼다. 마음에 맞는 벗들과 만든 학술모임의 잡지인 ‘문헌과 해석’에 연재한 것을 고치고 더 많은 글을 보태어 《조선의 문화 공간》을 펴냈다.
“아름다운 우리 땅에 대한 기억의 끈을 놓지 않기 위해 10여 년 공부하고 글을 써왔다. 내가 좋아 쓴 글이지만 남들에게 자랑하고 싶어서 《조선의 문화 공간》이란 책으로 펴낸다. 옛사람이 살던 땅을 통하여 조선시대 문화사를 보이고 싶다.”
저서로는 우리 한시의 멋과 맛을 담은 『한국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옛사람들이 산수를 즐기는 글을 뽑아 번역한 『누워서 노니는 산수』 등을 펴내었다.
*사진 권태균
1955년 밀양 출생.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중앙대, 세명대 강사를 거쳐 1985년 뿌리깊은나무사 <샘이 깊은 물>에서 본격 사진 활동을 시작하였다. 역사와 문화, 특히 사람들의 생활을 사진에 담아왔다.
목차
조선초기: 태평성세와 그 균열
들어가는 말
1. 도성 안에 끌어들인 산수
인왕산 무계쩡사와 안평대군의 꿈
성임이 누워서 노닐던 인왕산의 석가산
솔바람 소리가 맑은 성수침의 청송당
누항의 삶과 김안로의 희락당
낙산의 기재에서 학을 키운 신광한
2. 태평시대 강호로 물러나 사는 맛
통진 대포동 양성지의 별서
갈매기를 벗한 한명회의 압구정
농부와 함께한 강희맹의 금양 별서
월산대군의 풍류와 서로의 망원정
한강 최고의 명승지 잠두봉과 박은의 우정
3. 실의의 땅 안분의 삶
원주 법천사의 강학과 유방선
조위와 임청대에서의 안분
진도 금골산의 석굴과 이주
유배의 땅 거제의 소요동과 이행
온성의 위리안치와 기준
4. 강학과 절조의 공간
하동 악양정에 깃든 정여창의 절조
용인 사은정과 조광조의 꿈
달천 강물 위에 띄운 이자의 집
김안국과 은일의 공간 이호
고양 육무당의 교육자 김정국
사가독서의 공간 독서당
참고문헌
찾아보기
2책 조선 중기│귀거래와 안분
3책 조선 중기│나아감과 물러남
4책 조선 후기│내가 좋아 사는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