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백성을 위한 하늘의 도[天道]를 펼치고자 했던 고결한 선인들에 대한 기록. 세조의 왕위 찬탈, 연산주 시대의 전제와 학정, 중종반정으로 이어지는 조선왕조의 파행적 정치사 속에서 백성을 위한 왕도정치를 주창했던 청류사림의 이야기를 담은 장편 역사소설이다.
조선 역사 속 반대 세력에 의해 참혹한 화를 입었던 3대 사화ㅡ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ㅡ를 중심으로 군주와 백성, 왕권과 신권, 훈구파와 사림파의 복잡하고 첨예했던 대립과 갈등의 양상을 적나라하게 그려진다. 이러한 가운데 수신(修身)에 힘써 군자에 이르고자 학문에 정진했던 옛 선비들의 노력의 모습과 굳은 절개 또한 생생하게 드러난다.
1권 천도가 무너진 땅에서는 연산주의 등극으로 시작된 사림들의 잔혹사가 펼쳐진다.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로 수많은 사림들이 유배를 가거나 사사당하고, 연산주의 포악한 정치와 음탕한 생활은 도를 넘어선다.
2권 깨어나는 청류사림에서는 폭정으로 인해 연산주를 폐위시켜 진성대군을 왕으로 추대한 중종반정이 일어나고, 이를 계기로 새로운 시대에 대한 열망이 샘솟는다.
3권 지극한 정치를 펴다에서는 중종이 권신과 간신들 사이에서 왕권을 바로세우지 못하고 소인배들이 활개를 치자, 조광조를 비롯하여 사림들이 왕도정치를 제창하며 정계에 진출해 그들의 개혁 의지를 실현해 나가는 모습이 그려진다.
저자소개
저자: 정찬주
소개 : 불교적 사유가 배어 있는 글쓰기로 지난 삼십여 년 동안 명상적 산문과 소설을 발표해온 정찬주는 1953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다. 대학을 졸업한 뒤 글을 쓰는 작가로 살아오던 그는 자연을 스승 삼아 진정한 ‘나’로 돌아가기 위해 저잣거리의 생활을 청산하고, 늘 마음속에 그리던 남도 산중에 집을 지어 들어앉았다. 샘터사에 근무한 십수 년 동안 법정스님의 책들을 십여 권 만들었고, 그것이 계기가 되어 도타운 사제지정을 맺었다. 스님은 작가를 재가 제자로 받아들여 ‘세속에 있되 물들지 말라’는 뜻으로 ‘무염(無染)’이란 법명을 내렸다. 산중에 있는 듯 없는 듯 무지렁이 농부처럼 잊힌 듯 살면서 자연의 섭리를 좇아 살고자 하는 그의 바람은 솔바람으로 시비에 집착하는 귀를 씻어 불(佛)을 이룬다는 뜻의 ‘이불재(耳佛齋)’라는 집 이름에 담겨 있다.
지금까지 펴낸 책으로는 장편소설 『소설 무소유』, 『니르바나의 미소』, 『인연』, 『산은 산 물은 물』, 『하늘의 도』, 『대백제왕』, 『만행』 등과 산문집 『암자로 가는 길』, 『암자로 가는 길 2』, 『절은 절하는 곳이다』, 『자기를 속이지 말라』, 『선방 가는 길』, 『돈황 가는 길』, 『정찬주의 茶人기행』, 『뜰 앞의 잣나무』, 어른들을 위한 동화 『눈부처』가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을 인정받아 1996년 행원문학상, 2010년 동국문학상을 받았다.
목차
(하늘의 도 2 - 깨어나는 청류사림)
6장 깨어나는 청류 사림
어리석음 뒤에 숨다
숨어 있게 내버려 두라
만경창파에 첩첩 산들이라
7장 반정 모의
두 개의 화살이 한 과녁을 맞히듯
혁명에는 붓보다 칼이 필요한 법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것인가
백성을 배반한 왕이란
8장 반정 전후
하늘과 시간은 우리 편
세상이 바뀌다
폐주와 함께 죽는 자 없으니
욕심의 끝
어두운 임금, 밝은 임금
어제까지 태평성대라더니
9장 새 세상의 아침
폐주를 측은하게 여기다
누가 한 입으로 두말하는가
마음속의 아내
다시 부는 역모의 피바람
10장 끊이지 않는 역모
그 집 물을 마신 것이 부끄럽다
빛이 있어 그림자도 있다
소인배들 세상
반정동지를 내팽개치다
혀와 이
11장 지치(至治)의 꿈
상수리나무처럼 쓸모없는 사람
탐관오리가 되는 공부
천재 안견의 비겁한 꾀
임금의 진퇴양난